지방직 9급 D-73

메가공무원 스파르타

- - -

수험 전문가의 합격전략 가이드 합격전략 칼럼

합격 [합격전략] 2023년 국가직 7급 필기합격선 분석-일반행정 81점!

2023.11.01 5,910

 


 

안녕하세요. 메가공무원 합격전략연구소입니다.

9월 23일에 치러진 국가직 7급 필기합격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직렬별 선발배수와 합격선, 그리고 합격자 통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응시율 및 배수 안내 

 


 

올해 필기 응시율은 85.7%로 지난해 80.1%보다 증가하였습니다. 선발배수는 1.23배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필기합격자를 선발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지역/ 직류별 선발배수를 확인해보도록 할 텐데요, 그 전에 면접시험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면접시험은 우수, 보통, 미흡으로 평가자들을 평가하여 우수를 받을 경우 점수와 상관없이 합격, 미흡을 받을 경우 평가점수와 상관없이 불합격, 그리고 남은 자리만큼 필기시험 성적순으로 합격하게 됩니다.

즉, 필기시험에서 1배수 이내의 합격자가 미흡을 받는다면 그만큼 1배수 밖의 점수를 받은 사람도 합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22년 일반전형 최종 합격생들의 선발배수는 약 1.1배수였으며 이는 동점자로 인해 선발인원보다 최종합격인원이 많아졌다는 의미입니다. 

면접 시험 준비를 잘하여 보통 이상의 등급을 받는다면, 선발인원을 넘더라도 필기 동점자까지는 최종합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마지막 남은 면접 단계를 열심히 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신이 응시한 직렬의 선발배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2. 행정직군 필기합격선 (※일반전형기준)

 


2023년 행정직군 합격선은 평균 83점으로 전년(82.8점)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합격선은 직렬별 전문과목 난이도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요, 어떤 직렬이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합격선 TOP 직렬 : 검찰(92점), 감사(88점), 고용노동(87점)

올해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인 직렬은 검찰(92점), 감사(88점), 고용노동(87점) 순이었는데요, 

검찰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였습니다. 검찰은 매년 인기 높은 직렬로 경쟁률 147.4:1로 두번째로 높은 경쟁률을 차지했으며, 1차 PSAT 합격선도 상위 5위를 차지하였습니다. 2차 필기 시험에 상위권 학생들이 많이 유입되었기 때문에 합격선이 높게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뒤로는 감사와 고용노동이 차지하였는데요, 두 직렬은 전문과목의 평이한 출제로 합격선 상위권을 보일 수 있었습니다. 

 

■ 합격선 Bottom 직렬 : 통계(77점), 세무(78점), 회계(79점)

합격선이 낮게 나타난 직렬은 통계(77점), 세무(78점), 회계(79점) 순이었는데요 이 3개 직렬의 공통점은 경제학 과목 입니다. 행정학에 이어 경제학도 어렵게 출제되면서 해당 과목을 응시하는 직렬의 합격선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3. 기술직군 필기합격선 (※일반전형기준)

 


 

일반농업직이 92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했습니다. 일반농업직은 1차 시험에서 경쟁률도 높고 1차 필기합격선도 3번째로 높았는데요, 2차 시험에서도 기술직군 중 유일하게 90점대 합격선을 보였습니다. 그 뒤로는 전산개발 79점, 방재안전 78점 순이었습니다. 

가장 낮은 합격선은 산림자원 55점이었는데요, 산림자원은 22년 80점에서 무려 25점이나 낮아졌습니다. 이는 응시율이 22년 93.9%에서 올해 79.5%까지 크게 줄어들었으며, 전문과목 난이도 영향으로 합격선이 크게 낮아진 것으로 보입니다. 

 

4. 합격자 통계

 


 

23년 국가직 7급 필기 합격자 평균연령은 28.2세로 지난해(27.9세)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29세가 72.9%(645명)로 가장 많았고, 30~39세 23.2%(205명), 40~49세 3.4%(30명), 50세 이상 0.5%(4명) 순이었습니다. 

20~29세는 22년 75.1%에서 23년 72.9%로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반면, 30~39세는 21.8%에서 23.2%로, 40세~49세는 2.7%에서 3.4%로 합격자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는데요, 

20대 합격자 비율이 줄어드는 것은 국가직 9급에서도 나타난 현상인데요, 최근 젊은 세대들의 연봉, 워라밸, 공무원 연금, 선발인원 감소 등의 이슈로 인해 20대의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추후 일정

국가직 7급 면접시험은 11.21(화) ~ 11.24(금)까지 진행되며, 최종 합격자는 12.6(수)에 발표합니다.

 

지난한 여정의 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남은 면접시험까지 잘 치르시어 꼭 최종 합격 하시길 바랍니다.

메가공무원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