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9급 D-71

메가공무원 스파르타

- - -

수험 전문가의 합격전략 가이드 합격전략 칼럼

합격 [합격전략] 국가직 9급 필기합격자 발표,일반행정(전국) 91점!

2022.05.12 7,574

 


 

안녕하세요, 메가공무원 합격전략연구소입니다.

 

5월 11일(월) 드디어 국가직 9급 필기 합격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선택과목 조정점수가 폐지되어 올해부터 합격선이 총점이 아닌 평균점수로 발표되었다는 변화가 있었습니다.

오늘은 지역별/직류별 합격선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응시율 및 배수 안내

 

  

올해 일반전형 필기 실질 경쟁률은 23.95:1로 2021년 29.3:1이었던것과 비교해 감소하였습니다. 선택과목 제도가 폐지되면서 출원인원이 감소한 것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인것으로 보입니다. 전체적인 선발배수는 1.35로 전년과 거의 동일하게 필기 합격자를 선발하였습니다.

 

다음으로는 지역/ 직류별 선발배수를 확인해보도록 할텐데요, 그 전에 면접시험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면접시험은 우수, 보통, 미흡으로 평가자들을 평가하여 우수를 받을 경우 점수와 상관없이 합격, 미흡을 받을 경우 평가점수와 상관없이 불합격, 그리고 남은 자리를 필기점수 순으로 줄세워 선발인원만큼을 뽑고 나머지를 불합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즉, 필기시험에서 1배수 이내의 합격자가 미흡을 받는다면 그만큼 1배수 밖의 점수를 받은 사람도 합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발배수가 낮은 모집단위에서 필기 합격을 하셨다면 컷에 근접한 점수를 받으셨더라도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신이 응시한 지역의 선발배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1) 일반행정(전국/지역)

  

2) 일반행정(우정/경찰)

 


 

3) 행정직

  


4) 기술직

  

 

 

2. 일반행정직 모집단위별(일행/우정/경찰) 합격선

-일반행정 지역모집: 서울∙인천∙경기 91점, 강원 85점

-우정 지역모집: 제주 89점, 강원 83점

 

 
 

■ 일반행정 지역모집의 평균합격선은 88.3점 

일반행정직 지역모집에서는 서울∙인천∙경기 지역이 91점으로 수도권답게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하였고, 강원이 85점으로 가장 낮은 합격선을 기록하였습니다. 서울∙인천∙경기의 실질 경쟁률은 무려 170.1:1로 가장 높았으며, 강원은 29:1로 가장 낮았습니다. 특히나 강원도는 작년부터 평년 대비 약 두 배 정도 많은 인원을 선발하였는데, 이 때문에 경쟁률도 낮고, 합격선도 낮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 일반행정-우정사업본부의 지역 구분모집의 평균 합격선은 86.8점

우정사업본부 지역모집에서는 제주도가 89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보였는데요, 제주도는 일반행정과 우정 모두에서 평균보다 높은 합격선을 보이고 있습니다. 두 모집단위 모두 제주시의 선발인원이 한 자릿수 인데, 이렇게 선발인원이 적은 곳은 고득점자가 조금만 몰려도 합격선이 크게 오를 수 있습니다.

반면 강원도는 실질 경쟁률이 13.25:1로 가장 낮았는데요, 합격선 역시 가장 낮은 83점을 기록했습니다. 

 

 

3. 행정직군 합격선(일반전형 기준)

 

  


행정직군의 경우 올해 전문과목이 필수화되어, 과목별 난이도 차이에 따라 직류별 합격선 편차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 합격선이 가장 높은 직류는 "직업상담직” 96점. 

직업상담직의 경우 직업상담심리학개론과 노동법개론이 비교적 쉽게 출제되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수험생이 자격증 가산점 5점을 취득하기 때문에 합격선이 높게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 고용노동직 실질 경쟁률 6.16:1로 낮아지면서 합격선 또한 85점으로 낮게 형성

고용노동직의 경우는 노동법개론이 쉽게 출제되었고 직업상담직과 마찬가지로 자격증 취득 비율도 높은 직류에 속하지만, 행정법총론이 어렵게 출제되었다는 점, 그리고 실질 경쟁률이 6.16:1로 교정(남) 다음으로 낮은 경쟁률을 기록하면서 85점이라는 중간 정도의 합격선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 선발인원이 가장 적은 "출입국관리직” 합격선 93점으로 높아.

출입국관리직의 경우 코로나 이슈로 인해 작년부터 선발인원이 대폭 감소하면서 올해는 실질 경쟁률 94.74:1로 행정직군 중 3번째로 높은 직류로 나타났습니다. 행정법총론이 어려웠던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경쟁률이 높아지면서 합격선 또한 높게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 합격선이 가장 낮은 직류는 "교정직(남)” 74점 

가장 합격선이 낮은 직류는 교정직(남)인데요, 메가공무원 국가직 9급 풀서비스에 참여한 회원 대상의 전문과목 평균점을 확인해보면 교정직의 전문과목 난이도는 다른 과목들과 크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재작년부터 선발인원이 대폭 늘었고 실질 경쟁률이 5.22:1로 가장 낮아 합격선 또한 낮게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다른 직류들과는 다르게 별도의 체력시험이 있기 때문에 필기 공부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4. 기술직군 합격선(일반전형기준)

 

  

 

기술직은 화공, 방재안전,정보보호 제외한 전 직류가 작년 대비 합격선이 높아졌습니다.

이는 공통과목의 쉬운 출제의 영향이 반영된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전송기술의 경우 작년 합격선 67점에서 올해 81점으로 무려 14점이 올랐습니다.

이는 선발인원이 작년 66명 선발에서 올해 47명 선발로 크게 감소한 것과 그에 따른 경쟁률 상승, 그리고 공통과목의 난이도 하락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기술직군에서 합격선이 제일 높은 직류는 "일반농업직” 92점

일반 농업직의 선발인원은 19년 122명, 20년 77명, 21년 49명에 이어 22년 46명 선발로 선발인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는데요, 그 결과 기술직군 중에서 가장 높은 합격선을 나타내게 되었습니다. 

 

■ 기술직군에서 합격선이 제일 낮은 직류는 "정보보호직” 72점

합격선이 제일 낮은 직류는 정보보호직(72점)입니다. 정보보호직의 경우 응시율 57.7%로 가장 낮은 응시율을 보였으며, 거의 절반 정도가 시험장에 가지 않아 상대적으로 고득점자가 적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5. 합격자 평균 연령 29.3세로 작년(28.8세)에 비해 소폭 상승 


인사혁신처 보도자료에 따르면 올해 여성합격자는 전체의 51.2%인 3,820명으로 지난해 여성합격률 53.6%(4,025명) 보다 다소 낮아졌습니다.

 

 


 

그리고 합격자 평균연령은 29.3세로 지난해(28.8세)에 비해 소폭 상승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20~29세가 63.6%(4,745명)로 가장 많았고, 30~39세 29.3%(2,187명), 40~49세 6.2%(459명), 50세 이상 0.9%(64명), 18~19세 0.01%(1명) 순입니다.

양성평등채용목표제의 적용으로 고용노동, 교육행정, 검찰, 일반기계, 전기 등 17개 모집단위에서 남성 129명과 여성 40명 등 총 169명이 추가 합격했습니다. 양성평등채용 목표제는 어느 한 쪽 성별의 합격자가 합격예정인원의 30% 미만일 때 해당 성별의 응시자를 추가 합격시키는 제도입니다.

 

 

6. 국가직 9급 합격을 위한 마지막 관문, 면접 6월 11일부터 시행

 

면접시험은 6월 11일(토)부터 17일(금)까지 시행될 예정입니다. 

다가올 지방직 시험이 6월 18일(토)이기 때문에 국가직 면접 준비와 지방직 필기시험을 둘 다 준비하시는 수험생분들이 아주 큰 부담을 느끼실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저희 메가공무원에서 자체 개발한 모의면접 서비스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면접 준비가 가능합니다. 

자체 데이터로 수집된 실제 기출문제로 면접 연습을 하실 수 있으며, 성실하게 준비하는 응시생들께는 합격생 멘토가 직접 첨삭을 해드립니다. 

메가공무원 모의면접 서비스 바로가기>>

 

그리고 만약 국가직보다 지방직에 더 비중을 두고 계시더라도, 지방직 면접을 미리 경험한다고 생각하시고 면접에 꼭 가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공무원이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까지 메가스터디가 함께하겠습니다.

 

 

정말 큰 변화가 있었던 2022년 시험이었습니다. 다들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결과에 상관없이, 꿈을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경험 그 자체만으로 앞으로 살아가는 길에 어떤 식으로든 큰 자산이 될 것입니다.

 

메가공무원이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