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9급 D-76

메가공무원 스파르타

- - -

수험 전문가의 합격전략 가이드 합격전략 칼럼

합격 [합격전략] ★2022년 국가직 7급 합격선 발표★ 합격선 대폭 하락한 직렬은?

2022.11.24 5,074

 


 

안녕하세요. 메가공무원 합격전략연구소입니다.

 

11월 16일(수)에 국가직 7급 필기 합격자 발표가 있었습니다.

오늘은 직렬별 선발배수와 합격선, 그리고 합격자 통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응시율 및 배수 안내

  

올해 일반전형 필기 실질경쟁률은 6.35:1로 전년(6.68:1) 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전년도엔 90%에 육박했던 응시율이 5%가량 떨어지면서 경쟁률이 낮아진 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지역/ 직류별 선발배수를 확인해보도록 할 텐데요, 그 전에 면접시험 방식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면접시험은 우수, 보통, 미흡으로 평가자들을 평가하여 우수를 받을 경우 점수와 상관없이 합격, 미흡을 받을 경우 평가점수와 상관없이 불합격, 그리고 남은 자리만큼 필기시험 성적순으로 합격하게 됩니다.

즉, 필기시험에서 1배수 이내의 합격자가 미흡을 받는다면 그만큼 1배수 밖의 점수를 받은 사람도 합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선발배수가 낮은 모집단위에서 필기 합격을 하셨다면 컷에 근접한 점수를 받으셨더라도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반대로 본인이 합격한 단위의 선발배수가 높다면, 면접에서 떨어질 확률이 그만큼 올라가게 되는 것입니다.

아래 표를 통해 자신이 응시한 직렬의 선발배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행정직군 선발배수 (일반전형 기준)

 

■ 기술직군 선발배수 (일반전형 기준)

 

 

2. 직렬별 2개년 합격선

 행정직군

-검찰, 출입국관리: 91점/ 세무: 72점

  

행정직군 대부분 직렬에서 합격선이 하락하면서 평균 합격선은 82.82점으로 전년 대비 3.24점가량 하락했습니다. 특히 일반행정(우정)에서 합격선이 14점이나 낮아졌는데, 또, 일반행정(우정)의 경우엔 2021년도에 합격선이 기형적으로 높게 나타나면서 많은 수험생들의 이탈이 있어 더더욱 합격선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됩니다.

교육행정과 회계도 합격선이 10점가량 하락했는데, 이들 직렬의 선발인원이 예년과 비슷하거나 보다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합격선 하락이 크게 나타난 이유는 일부 전문과목의 난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한 편, 보호직, 검찰직, 출입국관리직의 경우 오히려 합격선이 전년보다 상승하였는데요, 특히 출입국관리직의 경우 선발인원이 절반 이상 감소하면서 합격선이 높게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 기술직군

-일반농업: 89점/ 건축: 64점

  

기술직군에선 일반농업직이 89점으로 가장 높은 합격선을 기록했습니다. 일반농업직은 1차 시험에서 경쟁률도 높고 1차 필기합격선도 2번째로 높았는데요, 2차 시험에서도 상대적으로 고득점자가 많이 배출된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합격선이 가장 낮은 직렬은 건축직으로 2개년 모두 최하위 합격선을 기록했습니다.

건축직은 일반농업직과 반대로 1차 시험 경쟁률이 낮았고, 1차 필기합격선은 56점으로 거의 최하위 수준을 기록한 만큼 2차 합격선도 낮게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3. 합격자 통계

  

이번 국가직 7급 시험의 필기합격자 평균 연령은 27.9세로 전년도 27.7세보다 약간 높아졌습니다.

연령별 인원 분포를 살펴보면 25~29세가 전체의 55.7%로 가장 많았고, 50세 이상이 0.4%로 가장 적었습니다.

한편 여성 합격자 비율은 41.3%로 전년도 35.7%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4. 추후 일정

국가직 7급 시험의 면접시험은 11월 30일부터 12월 3일까지 4일간 진행되며, 최종 합격자는 12월 14일에 발표될 예정입니다.

 

지난한 여정의 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남은 면접시험까지 잘 치르시어 꼭 최종 합격 하시길 바랍니다.

메가공무원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