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직 9급 D-75

메가공무원 스파르타

- - -

수험 전문가의 합격전략 가이드 합격전략 칼럼

합격 [합격전략] 국가직 7급 2차 필기시험 합격선 분석, 일반행정 89점!

2021.10.20 9,703

 


 

안녕하세요

메가공무원입니다.

 

지난 9월 11일에 치러진 국가직 7급 2차 필기시험 합격자가 발표되었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시행된 1차 PSAT 시험 합격생들이 2차 필기시험에 응시하게 되었는데요,

2차 필기시험에서는 몇 명이 합격하였고, 합격선이 가장 높은 직렬은 어떤 직렬일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국가직 7급 2차 필기 응시율은 89.9%

 


 

국가직 7급 시험은 선발인원 815명 중 1차 PSAT 합격인원 5,754명이었으며, 그 중 2차 필기에는 5,171명이 응시하여 응시율 89.9%를 보였습니다.

2차 필기 응시인원 5,171명 중 19%인 984명이 합격하였습니다.

 

1차 PSAT은 선발인원의 7.4배수를 선발하였고, 2차 필기는 작년과 비슷하게 선발인원의 1.2배수가 선발되었습니다. 

 

2. 경쟁률이 가장 높은 직렬은 출입국관리 7.8:1

국가직 7급 2차 필기시험의 실질 경쟁률이 높은 지역은 출입국관리 7.8:1, 인사조직 7.67:1, 보호 7.6:1, 관세 7.4:1, 감사 7.18:1 순이었습니다.

PSAT합격 인원 대비 2차 필기 응시율이 감사(88.8%) 를 제외하고는 90% 이상인 직렬이었으며, 특히 보호직은 PSAT 합격자가 모두 2차 필기시험에 응시하였습니다. 

 

출입국관리는 5명 선발에, 출원인원 835명이었으며, 그 중 1차 PSAT에서 40명이 합격하였고, 2차 필기시험에는 6명이 합격하였습니다.

실질 경쟁률이 낮은 직렬을 살펴보면, 재경 5.7:1, 회계 6.2:1, 통계 6.23:1, 일반행정(우정) 6.31:1 순이었습니다.

 

 

※ 일반전형 행정직 기준

 

 

보통 경쟁률과 실질경쟁률의 차이가 크게 벌어지지만, 국가지 7급의 경우, 1차 PSAT 시험을 통해 선발인원의 7.4배수가 합격함으로써 2차 필기 시험 응시인원이 크게 줄었습니다. 

1차 합격생 중 90%가 2차 필기시험에 응시하였기 때문에 2차 필기시험에서의 경쟁률과 실질경쟁률은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3. 합격선이 높은 직렬은 관세 93점

 

※일반전형 행정직 기준

 

 

행정직군 합격선 평균은 86점이었으며, 합격선이 가장 높은 직렬은 관세 93점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일반행정(우정), 인사조직, 통계가 90점, 일반행정과 선거행정이 89점 순이었습니다.

합격선이 낮은 직렬로는 재경 76점, 세무 78점이었으며, 올해 2차 필기시험에서 회계학 과목이 어렵게 출제되었기 때문에 회계학 과목을 응시하는 직렬의 합격선이 다른 직렬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직렬별 전문과목의 난이도에 따라서 직렬별 합격선 차이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일반전형 행정직 기준

 

 

작년 합격선과 비교해보면 대부분의 직렬에서 합격선 상승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필기 과목수도 4과목으로 줄어들었으며, 작년 대비 평이한 출제로 합격선이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회계학은 어렵게 출제되면서 회계학을 응시하는 세무, 감사는 합격선이 하락 하였으며, 작년 경쟁률 top3였던 인사조직(392:1), 교육행정(110:1), 검찰(87.8:1)은 올해 1차 PSAT으로 합격생이 걸러지면서 합격선 또한 작년대비 감소한 것으로 보입니다.

 

4. 필기 합격자 연령별, 성별 분석

■ 필기 합격자 평균 연령은 27.7세.​

 


 

전체 합격자 중 25세~29세가 52.4%(516명)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20세~24세가 22.9%(225명), 30세~34세 17.1%(168명), 35세~39세 5.2%(51명), 40세~49세 2.2%(22명), 50세 이상 0.2%(2명) 순이었습니다.

20대가 75.3%, 30대가 22.3%의 합격률로 전체 합격자 중 20~30대 합격자가 97.6%를 차지하였으며, 합격자 평균 연령은 27.7세로 작년 28.3세보다 다소 낮아졌습니다.

 

■ 전체 합격자 중 남성이 64.3%를 차지. 

 


 

국가직 7급 필기 합격자 중 남성은 64.3%, 여성은 35.7%를 차지하였습니다.

국가직/지방직 9급에서는 행정직은 여성합격자가, 기술직은 남성 합격자가 높게 나타났지만, 국가직 7급에서는 행정직/기술직 모두 남성 합격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여성 합격자 비율은 19년 37.8%, 20년 40.5%, 21년 35.7%로 전년도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5. 국가직 7급 시험의 변화

올해는 국가직 7급 시험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우선 5급에서만 치러지던 PSAT이 국가직 7급 1차 시험으로 도입됨으로써, 5급 수험생들이 7급 국가직 시험에도 지원을 하게 되었으며, 자연스럽게 출원인원 또한 작년 대비 8%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3차 면접 불합격자에 대해서는 다음 해 1차 PSAT 시험을 면제 해주는 규정이 신설됨으로써 2차 시험만 준비하면 되는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됩니다. 

이로 인해 1차 PSAT에서 탈락한 수험생 혹은 내년에 새롭게 국가직 7급 시험을 준비하는 초시생들은 1차 PSAT합격을 위한 준비 뿐만 아니라 2차 전문과목에 대한 대비 또한 지금보다는 더욱 치열하게 준비해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국가직 7급 필기합격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11.14(일) ~ 11.17(수)에는 국가직 7급 마지막 관문인 3차 면접 시험이 있습니다.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여 합격하시기를 메가공무원이 응원하겠습니다.

 

메가공무원의 여러분의 합격을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